KERI, 10일 ‘낙뢰 위험 예방 행동요령’ 발표
한국전기연구원 고전압시험동에서 인공낙뢰 실험을 하는 모습. 뾰족한 피뢰침에 낙뢰가 떨어지고 있다.
[일요신문] 호우·태풍 등으로 인한 피해가 많은 여름장마철에는 낙뢰로 인한 피해와 사고도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과거 재난상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발생한 낙뢰 피해는(2009~2013년) 총 38건으로 사망 1명, 부상 4명, 2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장마철인 7~8월에는 대기가 불안정해 낙뢰가 집중되기 때문에 매년 낙뢰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가 하면, 낙뢰로 추정되는 화재도 줄을 잇고 있다.
기상청 등에 따르면, 작년 한 해 우리나라 육상에는 총 10만5000회의 낙뢰가 쳤다.
실제로 지난 8일 오후에는 8호 태풍 ‘너구리’의 영향으로 울산 지역에 비를 동반한 낙뢰가 내리쳐 울산석유화학공단 내 14여개 업체가 정전됐다.
이 사고로 수백억원의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전기전문연구기관 한국전기연구원(원장 김호용)은 최근 여름철 낙뢰 사고에 대비해 국민들이 물놀이, 캠핑 등 야외활동이나 외출 시 낙뢰 사고 방지를 위해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낙뢰(벼락)는 생활 환경속에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정전기 방전이 거대한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다만, 규모가 매우 크다는 점이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 편서풍의 영향으로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서해상을 통과하면서 다량의 수증기를 공급받아 형성된 온난 다습한 상승기류로 인해 서해상과 내륙에 낙뢰의 빈도가 높다.
낙뢰는 빛의 속도의 1/10 정도로 빠르며, 전압은 1억 볼트로 집에서 쓰는 전기의 50만 배에 달한다.
또, 섬광이 지나가는 곳의 온도는 태양 표면보다 4배나 뜨거운 2만7천도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낙뢰를 맞게 되면 약 80%는 즉사한다. 낙뢰 전류가 인체를 통과해 호흡과 심장이 4~5분 이상 지속적으로 멈출 경우 즉사하게 된다. 약 20%는 치료 후에 생명을 건질 수 있다.
낙뢰가 예상되거나 낙뢰 발생 시에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야외활동 중인 경우, 뾰족한 물체나 홀로 서 있는 나무 등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게 좋다.
낙뢰는 나무나 깃대 등 뾰족하고 높은 물체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전기연구원이 2대의 차량으로 인공낙뢰 실험을 한 결과, 안테나 같은 뾰족한 물체가 있는 차량으로 낙뢰가 떨어졌으며, 비오는 날을 가정해 마네킹으로 실험한 결과, (뾰족한 물체인) 우산을 씌운 마네킹에게 인공낙뢰가 떨어졌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10일 ‘낙뢰 위험 예방 행동요령’을 통해 밝힌 낙뢰 예방법은 다음과 같다.
낙뢰 위험 예방 행동요령(요약)
⊙ 야외활동을 위해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낙뢰가 예상되면 계획을 연기하거나 이동 범위 내 적절한 피난장소를 확인한다.
⊙ 만일 부득이하게 뇌폭풍우 중 이동해야 한다면, 제방이나 목초지와 같은 지역을 벗어나 한쪽 발만 땅에 접촉하면서 짧은 보폭으로 걷거나 뛰어 간다.
⊙ 비가 그치거나 천둥소리가 작아져도 성급하게 이동하지 말고 마지막 천둥소리 후 최소 30분 정도 더 기다렸다가 이동한다.
⊙ 우산, 낚싯대, 골프채 등 금속성이거나 길고 뾰족하여 낙뢰를 유발할 수 있는 물품은 사용하지 말고 접거나 눕혀 놓는다.
⊙ 지붕이 열린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트랙터, 골프카트, 콤바인 등을 타는 것을 피한다.
⊙ 피뢰설비가 없는 헛간, 나무 또는 돌로 된 오두막이나 버스정류장과 같이 부분 개방된 피난처의 경우, 벽면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진 개방된 부분의 중앙에서 웅크린 자세로 피한다.
⊙ 낙뢰가 자동차 안에 떨어져 상처를 입더라도 밖보다 자동차 안이 훨씬 안전하므로 위급시 자동차를 적절한 대피소로 활용하되, 유리창 문을 닫고 가급적 외부와 연결된 금속부분이나 라디오 등의 접촉을 피한다.
⊙ 차량 운행 시 낙뢰나 천둥시 안전한 곳에서 잠시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하게 운행할 경우 안전속도로 매우 주의하며 운전한다.
⊙ 낙뢰는 어디든지 칠 수 있지만 나무나 깃대 등 높은 물체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으며, 홀로 서 있는 나무는 특히 위험하므로 나뭇가지나 줄기로부터 10m 이상 떨어진 거리로 피한다.
⊙ 금속 울타리, 철탑 및 가로등 등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져 이동하고 무리지어 운집하는 것을 피한다.
⊙ 여러 사람이 모여 있는 경우, 서로 접촉하지 말고 최소 1m 이상 거리를 유지하며, 낮고 움푹 패인 곳을 찾아 대피한다.
⊙ 노지 등 개방된 공간에서는 다리는 모으고 손은 귀를 덮고 머리를 가능한 땅에 가깝게 웅크려 앉는다.
⊙ 산에서 대피 시, 암벽, 균열, 틈새, 불룩하게 도드라진 부분보다는 절벽에서 튀어나온 바위 아래 동굴이나 암벽 아래 부분이 비교적 안전하다.
⊙ 숲의 가장자리에 머무는 것은 위험하며, 숲 안쪽 중앙으로 피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야외 캠핑 시 텐트와 캠핑카 사이에 금속선을 설치하지 말아야 하며, 낙뢰 시 금속 재질의 텐트 지지대나 캠핑카 주위로부터 최소 1m 이상 떨어져 있는다.
⊙ 캠핑카 주차공간으로부터 플러그를 뽑아 모든 전원선을 차단해야 하며, 외부 안테나 등을 제거한다.
한편, 한국전기연구원은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지난해 ‘낙뢰안전 가이드북’ 책자를 제작, 발표한 바 있다.
이 책자는 △ 뇌방전과 낙뢰 △낙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낙뢰시 행동요령 △자주 물어보는 질문(FAQ) 등으로 구성됐다.
일반적 상황, 건물 내, 차량 내, 야외, 등산, 야영, 수상활동, 야외 스포츠 등 각각의 상황에 맞는 낙뢰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행동요령을 제시했다.
가이드북 내용은 KERI 홈페이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하용성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