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창업생태계와 발전과제’ 연구보고서 발표
보고서에 따르면 저성장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창업’이 부각되는 가운데 동남권의 창업활동은 부족한 인적·물적 자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기준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동남권의 창업기업 수는 253,433개로 전국 15.5%를 차지하며 전 사업체수 대비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창업기업 중 벤처기업, 이노비즈기업, 메인비즈기업 등의 인증을 받은 혁신형 기업의 비중도 0.5%로 전국평균 0.7%를 밑돌았고, 특히 수도권 0.9%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실질적인 벤처활동이 일어나는 벤처기업 집적시설은(2015년 10월 중소기업청 자료기준) 5개소(부산 4개, 울산 1개)에 불과해 수도권 66개소에 비해 크게 부족했다.
창업기업의 입지현황도 창업보육센터, 대학연구기관 보다 산업단지 및 일반주거지역에 입주기업 비중이 높아 전통적인 제조업 및 생계형 창업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산의 경우 혁신형기업의 비중이 0.6%로 나타나 동남권의 미흡한 창업생태계에도 불구하고, 혁신활동은 울산(0.2%) 및 경남(0.4%) 대비 비교적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투자 측면에서도 주요 창업투자회사의 지역별 투자규모를 보면 수도권에는 (2014년 말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전자공시 자료) 8,636억 원이 투자가 이뤄진 반면, 동남권은 200억 원으로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투자실적이 미미한 이유는 동남권의 경우 업종별 포트폴리오 분산에 어려움이 있어 수익률 확보가 힘들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특히 벤처캐피탈의 주요 투자대상은 ICT, 바이오, 컨텐츠 관련업종인데 반해 동남권은 기계·조선 등 자본집약적 업종이 주력으로 IPO 및 M&A를 통해 높은 레버리지를 추구하는 창업투자 특성상 동남권은 투자 매력이 낮아 투자처 발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NK금융경영연구소 정성국 수석연구위원은 “향후 크라우딩 펀딩 활성화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세계 최고수준인 동남권 주력산업들과 혁신기업들의 자생적 성장을 유도할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하용성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