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략기 한국문학사 재조명 정책토론회에서 문인들 한 목소리
3.1운동 100주년 기념 일제침략기 한국문학사 재조명 정책토론회 참석자들. 사진=이용호 의원실
이용호 무소속 국회의원(남원·임실·순창)은 26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 일제침략기 한국문학사 재조명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제20대 국회 전반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유성엽 민주평화당 의원, 임재훈 국회 교육위원회 바른미래당 간사 등 국회의원과 정부, 학계, 문학계, 교육계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일제강점기 저항문학 발굴 및 연구 필요성을 확인하고 친일문인 기념문학상 문제를 논의했다.
이날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동수 백제예술대학교 명예교수는 “일제강점기 국내에서 발간된 문학은 조선총독부의 검열을 거쳐야 했던 반면, 망명·지하문학에는 표현의 자유가 있었고, 저항의지가 고스란히 담겨있다”며 “그런데도 중·고교 교과서는 국내문학만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명예교수는 “아직 빛을 보지 못한 망명·지하문학이 상당히 많다. 이를 발굴하고 연구해 교과서에 편입시킬 필요가 있다”며, “이 같은 작업은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에서 체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 발제를 맡은 유용주 한국작가회의 자유실천위원회 위원장은 “문인과 문학은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공과를 정직하게 기록해야 한다”며, “시대에 편승해 이익을 취한 사람들의 행적 역시 후대에 뚜렷이 알려야 한다. 이 같은 맥락에서 친일문인 기념문학상 폐지 주장이 수십년 전부터 이어져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유 위원장은 “친일문인 기념문학상은 생계가 어려운 작가들의 사정을 수천만원에 달하는 상금으로 교묘하게 이용하는 측면도 있다”며, “문학은 약자 편에 서는 것이 참모습이고, 뻔히 패배할 줄 알면서 싸우는 것이 본질이다. 이를 저버린 친일문인들의 문학상을 작가들 스스로 부끄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본 토론에서 남민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은 “3.1운동의 총체적 의미를 학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서는 3.1운동 이후 해외 망명인사들의 항일저항문학 작품을 발굴, 수집하는 작업이 일차적으로 요구된다”며, “자료 자체가 다양한 국가에 산재해 있고, 해당 국가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지도 않은 형편이므로, 국가 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필수”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남 연구위원은 “학교 교육현장에서 3.1운동 정신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에 대한 교육, 해외동포의 항일저항문학 작품에 대한 교육 등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정비 역시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임성용 한국작가회의 시인도 관련 법 개정 필요성을 주장했다. 임 시인은 “2004년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통과됐지만, 법안 논의 과정에서 ‘친일’ 용어가 제외되는 등 한계가 있었다”며, “이는 지금까지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친일반민족행위자 기념사업금지’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일환 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황송문 선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김미영 한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역시 일제강점기 국내·외 저항문학을 정부 차원에서 발굴·수집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친일문인의 행적과 작품을 어떤 관점에서 볼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용호 의원은 토론회를 마무리하며 “오늘 논의를 토대로 관련 법규들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제도개선에 힘쓰겠다”며, “무엇보다도 국·내외 저항문학 발굴·수집은 개인적 차원에서 이끌어가기는 어려운 만큼, 국가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장익창 기자 sanbad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