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준 의원“서울 상가 공동화 매우 심각한 전조현상, 제대로 된 부동산 대책을 세워야”
서울 중구 명동 한 건물 공실 상가. 사진=고성준 기자
2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에게 국토교통부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오피스 건물 공실률은 2013년 2분기 서울평균이 6.4%에서 2017년 2분기 11.3%다. 그리고 가장 최근 조사결과인 2018년 4분기 11.4% 분기)로 늘었고, 중대형 상가 공실율도 2013년 2분기 서울 평균이 5.5%에서 2017년 2분기에는 6.9%로 2018년 4분기에는 7.0%로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피스 빌딩 공실률 세부 지역별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 2분기, 2017년 2분기, 2018년 4분기에 광화문(4.9%→6.8%→7.6%), 동대문(4.6%→6.3%→8.4%), 명동(6.6%→8.2%→9.5%), 종로(9.9%→11.6%→19%), 용산(5%→8.4%→17.5%) 소재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강남대로(10.1%→18.1%→18.5%), 도산대로(6.6%→7.8%→7.9%), 서초(5.1%→10.1%→10.6%), 신사역(3%→8.3%→8.4%), 테헤란로(5.9%→6.2→6.5%), 여의도(6.1%→12%→12.7%), 영등포(9.4%→11.4%→11.8%), 사당(3.1%→3.1%→4.8%), 화곡(11.8%→13.4%→20.8%) 등 강남권 일대의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이 모두 증가하는 등 불경기의 직격탄을 맞았다.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충무로로 20.9%에 달했고, 공실률 증가가 가장 높은 곳은 용산으로 2013년 2분기 5%에 불과하던 오피스 공실률은 2018년 4분기 17.5%로 폭등하여 현재 충무로와 용산 오피스 사무실 10개 중 2개 가량이 비어있는 상황이다.
중대형 상가 공실률의 지역별 세부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2013년 2분기, 2017년 2분기, 2018년 4분기 공실률은 동대문(7.1%→10.9%→14.6%), 신촌(3.3%→4.2%→10.8%), 용산(4.7%→5.9%→9.7%), 이태원(3.3%→14.9%→21.6%), 혜화동(3.6%→8.6%→9.6%) 등 전통적인 구도심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증가했다.
논현역(1%→18.9%), 신사역(5.7%→6.9%→7.9%), 청담(1.4%→3.4%→11.2%), 목동(2.3%→4.6%→7.5%), 천호(3.3%→5.3%→6.6%) 등 신흥 상권 중대형 상가 공실률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이태원으로 21.6%에 달했고, 공실률 증가가 가장 큰 곳은 논현역으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2분기 1%에 불과했던 공실률이 2018년 4분기 18.9%로 17.9%나 급등하면서 강남 불패의 신화가 깨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벌어지는 자영업의 몰락이 공실률 지표로 나타나고 있어 공실률 증가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가볍게 여기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송석준 의원은 “서울 상가 공동화는 매우 심각한 전조현상”이라며 “내수부진 및 경제침체로 발생한 일본의 장기복합불황의 원인이 부동산 시장 붕괴에서 시작됐다는 것을 명심하고, 제대로 된 부동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익창 기자 sanbad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