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TP지구 내 문화유적 원형보존 대책 강구…문화재청 국가사적 지정 촉구
충북 참여연대가 청주시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참여연대는 TP지구에는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 베일에 싸여 있던 마한의 역사를 풀 수 있는 실마리인 대구모 취락과 매장공간, 고대 제철의 여러 공정을 알 수 있는 매장물이 존재해 청주 고대사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지역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수많은 문화유적이 출토되고 가치판단이 끝나지도 않은 TP지구에서 개발논리에 밀려 오송2단지 개발지역의 역사현장이 사라졌고, TP 1지구의 문화유적 역시 개발이익 창출을 위해 깡통주택같은 전시관만 남은 채 아파트 단지 아래로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이와 더불어 2지구 역시 문화재청의 문화재 전문가 검토회의 결과가 청주시에 보내지고 행정의 막바지에 이르렀지만 보존은 미지수이며 태고 청주의 역사는 몇 권의 보고서로 남게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행정주체로서 역사적 문화유적을 전혀 보존할 의지가 없는 청주시에 대해 “TP지구 발굴과정에서 문화유산 헌장의 강령은 허상”이라고 비판했다.
1997년 국가 재정 문화유산 헌정을 들면서 ▲문화유산은 원래의 모습대로 보존돼야 한다 ▲문화유산은 주위 환경과 함께 무분별한 개발로부터 보호돼야 한다 ▲문화유산은 그 가치를 재화로 따질 수가 없는 것이므로 결코 파괴·도굴되거나 불법으로 거래되서는 안 된다 ▲문화유산 보존의 중요성은 가정·학교·사회 교육을 통해 널리 일깨워야 한다 ▲모든 국민은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찬란한 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켜야 한다며, 이를 지키지 않는 개발주체와 청주시는 부끄러워해야 한다고 비난했다.
이와 함께 참여연대는 “청주TP지구 유적은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지역 옛사람의 역사”라며 백제 시대 마을 유적 청주TP지구내 유적 관리도 촉구했다.
특히 원삼국에서 백제에 이르는 무덤과 마을에서 집터 514기, 무덤 369기, 제철로 18기가 확인돼 청주지역 백제사의 공적을 메워줄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되지만 청주시는 형식적인 박제화됐을 뿐인 소규모 전시관으로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청주시가 TP 개발 주체로서 문화유산을 보존할 것도 촉구했다. 개발과 보존에서 중립적 행정을 지행해야 하는 시가 민관 개발과정에서 사업주체로서의 역할만을 하고 있으며, 문화유산을 국보나 보물과 같은 국가 지정문화재의 존재 여부로만 판단하는 청주시장을 비판한 것.
이들은 “이미 TP지구의 대규모 백제마을은 아파트가 들어서 되돌릴 수 없는 과거가 됐지만 문화유산을 기억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자고 청주시민의 요구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 “청주시가 문화유산 파괴현장의 중심에 섰다”며 “‘직지’와 산재된 문화유산을 제외하면 고려 이전의 역사가 사적 제319호 청주 신봉동 고문군의 5~6세기 백제의 무덤으로, 청주의 초기 역사를 말하고 있는 청주시가 TP지구의 2~4세기의 역사를 무시하고 우리의 무관심 속에서 파괴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참여연대는 역사문화의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청주시에게 역사를 보존할 의지가 과연 가지고 있는지를 질문했다.
이들은 “오송 유적과 짝지은 우리나라 최대의 문화유산 소멸이 우려된다”며 “TP지구에서 무덤과 집터뿐만 아니라 제철시설, 특히 이지역에서 출토된 왕(王)자가 새겨진 청동방울은 당시 청주지역의 정치세력의 단서를 밝혀줄 귀중한 유물이었지만 현장은 이미 사라졌고 나머지도 사라질 위기”라고 밝혔다.
‘기록문화 창의도시’로 문화도시 지정을 바라는 청주시에게 각성을 요구하면서 “직지는 흥덕사지터를 확인함으로써 청주를 세계기록문화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고, 수십억의 예산을 들여 직지의 가치를 공유하며 기록문화 창의도시를 주제로 문화비전을 세우겠다는 시가 TP지역에서 발견된 고대의 기록을 부정하고 파괴하면서 문화도시로 과연 나아갈 자격이 있는지”를 반문했다.
그러면서 “TP지구의 문화유적은 한국고고헉회, 호서고고학회, 한국철문화연구회를 비롯해 많은 관련 학회와 전문가들이 마한의 역사와 태초의 청주를 밝히는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라며 “이 역사를 보존하고 활용방안을 찾는 것이 시장의 역할일 텐데도 문화재 지정과 보존은 문화재청의 소관이라는 핑계를 대며 계획조차도 세우지 않고 있는 것은 책임을 방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문화재청에 대해서도 정부기관으로서 책임을 다했는지를 물었다. 참여연대는 “지난 정부 시절 4대강 등 국책개발에 맞춰 문화재 보존보다는 개발을 용이하게 하는 데 편승하지 않았나”며 “TP 유적에 제철 유구가 있었음에도 유적 보존을 평가할 문화재위원회에 제철 관련 전문가가 참가하지 않은 것은 자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여연대는 청주시와 문화재청, TP 개발주체들에게 ▲청주시는 청주TP 1, 2지구 발굴 기록을 제대로 보존하라 ▲2차 부지 문화유적을 최대한 원형보존하라 ▲민·관·학 거버넌스 기구를 구성하라 ▲3지구는 원형보존 원칙을 수립하라 ▲청주TP를 국가사적으로 인정하라 ▲문화재청 문화위원을 민간으로 확대하라 등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