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성 쓰레기 소각 않고 매립해 매립장도 포화 가속화…음식물쓰레기 섞여 악취·해충 발생도
생활 쓰레기가 쌓여있는 서귀포시 표선매립장. /사진=제주환경운동연합
[일요신문] 서귀포시 지역에서 발생한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매립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이는 소각 처리해야 할 생활 쓰레기의 대량 매립으로 인해 일부 매립장의 포화 시기가 앞당겨질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최근 제주시 압축쓰레기 해외 불법반출 논란에 이어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나며 제주도 쓰레기 처리난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제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제주 서귀포시 남원·표선·성산 등 읍·면매립장 3곳에서 지난 4월부터 소각장으로 반입돼야 할 상당량의 가연성 생활 쓰레기가 버젓이 매립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됐다.
가연성 생활쓰레기 총량은 10여 톤에서 20톤 이상으로 추정된다. 특히 여름철 관광성수기가 시작되는 시점이어서 이 양은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서귀포시 읍면매립장이 당초 용도를 벗어나 가연성 생활쓰레기 처리장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남원·표선·성산매립장의 예상 만적시기는 2021년 12월, 2020년 12월, 2019년 12월이다. 남은 매립 잔여량도 각각 7243톤, 6721톤, 1126톤이다.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지속적으로 매립할 경우 예상 만적시기는 성산읍의 경우 빠르면 8월께, 남원과 표선의 경우 내년 4~5월께 포화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색달동에 위치한 서귀포쓰레기 위생매립장의 경우도 가연성 생활쓰레기가 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동복매립장과 광역소각장 신설에도 불구하고 생활쓰레기 처리난이 해결되지 못하고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제주시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 소각장과 압축쓰레기 생산시설이 포화되면서 서귀포시 읍면지역의 생활쓰레기 반입이 힘들게 돼 어쩔 수 없이 서귀포시 남원·표선·성산 3곳의 읍면매립장에 지난 4월 말부터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반입해 매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서귀포시 남원·표선·성산 등 읍·면매립장 3곳에서 상당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섞여서 배출되고 있어 환경오염으로 이어지고 있다.
남원매립장의 경우 침출수가 상당량 고여 있고 매립장 토양이 빨갛게 오염돼 심한 악취와 함께 해충 문제 등 위생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많은 양의 가연성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매립하게 되면 침출수에 대한 처리도 힘들뿐더러 메탄가스 배출량이 늘어 악취는 물론 기후변화에도 심대한 악영향을 미치고 매립종료 이후 관리에도 큰 어려움이 뒤따른다”며 “매립성상이 불량할 경우 매립장 쓰레기 분해과정에서 매립공극이 발생하게 되고 복토한 지반이 붕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서귀포시는 제주도 폐기물 관리 조례 시행규칙에 따라 매립장 내 가연성 쓰레기 매립 자체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는 제주도 폐기물 관리 조례 시행규칙 제3조의 광역폐기물 소각시설이 고장 또는 수리 등 불가피한 경우 가연성쓰레기의 소각처리 없이 매립장 반입을 허용할 수 있다는 조항을 근거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이 문제를 과연 시행규칙을 근거로 문제없다고 할 수 있는 문제인지 의문”이라며 “결국 이번 문제는 제주도 생활쓰레기 처리의 총체적 난국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어 문제 해결을 위해 제주도 일부 읍면지역에서 실시하지 않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종량제 전면 시행과 제주특별법 개정을 통한 1회용품 제한 방안 마련, 신규 재활용시설 건설 등을 통한 재활용률 극대화 방안 등을 요구했다.
현성식 기자 ilyo99@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