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 결과에 따라 리더십과 이미지에 상처 생기면 GS그룹 수장 교체 시나리오 솔솔
허창수 회장은 전경련이 특정 단체인 어버이연합에 대해 편법 지원한 혐의와 관련해 2016년 5월 6개 시민단체들로부터 검찰에 고발됐다. 허 회장은 박근헤·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 최 씨 실소유의 미르·K스포츠재단 논란과 관련해서도 고발돼 수사 선상에 올라 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 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2016년 12월 국정농단 사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일요신문DB
하지만 고발로부터 3년이 지난 현재 검찰이 두 사건에 대한 수사여부는 물론 증거 불충분에 의헌 혐의 없음이나 기소여부조차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복수의 고발인들은 ‘일요신문’과 통화에서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재판이 끝나지 않어서인지 모르겠지만 고발 후 지금까지 고발인 조사조차 받지 않았다. 현재 검찰 수사 담당부서가 어디인지도 알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전경련은 2016년 9월부터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곤욕을 치렀다. 전경련은 모두 866억 원(각각 미르재단 486억 원, K스포츠재단 380억 원)의 자금을 이 재단들에 출연했다. 허창수 회장이 이끌고 있는 GS그룹도 GS칼텍스와 GS건설 등 8개 계열사들을 동원에 미르재단에 26억 원, K스포츠 재단에 16억 원 등 42억 원을 출연했다.
시민단체 투기자본감시센터는 미르·K스포츠재단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돼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씨,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과 허 회장을 포함해 70명을 지난 2016년 9월 고발했다.
최순실 씨의 입김에 박근혜 대통령이 안종범 수석을 통해 전경련에게 회원사의 출연을 강요하는 형국에서 전경련 수장인 허창수 회장의 책임론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기업들의 출연이 ‘자발적 참여’인지 ‘묵시적 청탁 또는 뇌물’인지 재판에서 가려지게 된다.
서울 여의도 전국졍제인연합회 회관. 사진=고성준 기자
허 회장은 다른 사안으로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다. 2016년 4월 당시 야권은 전경련이 어버이연합에 자금을 지원했다며 이를 명백한 정치개입이라고 비판했다. 결국 같은 해 5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민주노총, 경제민주화네트워크 등 시민단체들은 허 회장과 전경련을 검찰에 고발하기에 이르렀다.
정대협 관계자는 “전경련이 벧엘선교복지재단 계좌를 통해 어버이연합에 지원금을 보내 금융실명제법을 위반한 혐의가 있다”며 “허 회장은 전경련 설립 목적과 업무와는 무관한 특정 단체에 대한 지원으로 배임 혐의로 고발했다. 하지만 현재 검찰 수사 진척 여부조차 알 수 없는 상태다”라고 꼬집었다.
전경련 관계자는 “두 건의 검찰 수사와 관련해 우리 단체는 피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중요 사항에 대해 일반적으로 회장에게 보고하고 있다. 그런데 특정 단체 지원과 관련해 회장에게 보고했는지 여부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71세인 허창수 회장은 2004년부터 LG그룹과 분리된 GS그룹을 이끌고 있다. 그런데 GS그룹 경영과 관련해 허창수 회장은 절대적인 지분을 보유한 총수가 아니어서 리더십과 이미지 등에 상처가 생긴다면 ‘GS 일가 가족회의’를 통해 교체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그룹 지주회사인 ㈜)GS의 지분구조도 이러한 전망을 방증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국정농단 사태 논란이 절정으로 치닫던 2016년 10월 이후 ㈜)GS의 최대주주는 허창수 회장보다 20세 아래의 사촌동생인 허용수 GS에너지 사장이 됐다. 허용수 사장은 ㈜)GS 지분 5.26%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지분 4.75%를 보유한 허창수 회장은 현재 ㈜)GS 2대 주주다, 이를 두고 재계에선 허용수 부사장이 공동경영을 원칙을 내걸고 있는 GS 가풍에서 ‘가족회의’를 통한 합의나 동의를 받고 최대주주가 될 수 있었다는 분석이 우세한 상황이다.
장익창 기자 sanbad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