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녹취록에서 김웅 의원은 “고발장 초안을 아마 ‘저희가’ 일단 만들어서 보내드릴게요” “이런 자료들이랑 그런 것들을 좀 모아서 드릴 테니 그거하고, 고발장을 남부지검에 내랍니다” “음 남부(지검) 아니면 조금 위험하대요” “선거판을 이용해, 이번에는 경찰이 아니고 MBC를 이용해서 제대로 확인도 안 해보고 프레임을 만들어 ‘윤석열 죽이기’ 쪽으로 갔다. 얘들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제가 가면 ‘윤석열이 시켜서 고발한 것이다’가 나오게 되는 것” “검찰색을 안 띠어야 한다” 등의 발언을 한 것으로 나온다(관련기사 “내가 가면 ‘윤석열 시켜서 고발’ 나오게 된다” 조성은-김웅 통화녹취록 공개 파장)
김웅 의원은 10월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 전 ‘전날 공개된 조성은 씨와 통화내용이 기억나지 않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제가 제보자가 누군지를 몰랐었고, 계속 헤맸다. 이렇게 오랫동안 대화를 했다고 하는데도 그걸 기억하지 못했는데, (이제 와서) 누구한테 받았는지를 기억했다고 하면 믿어주시겠느냐”고 답했다. 조 씨에게 고발장을 전달했는지, 대화를 나눴는지 ‘기어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 것.
그러면서도 고발사주를 암시하는 발언을 두고는 적극 해명했다. 김 의원은 “‘저희’라는 말에 대해서 자꾸 이야기하는데 제가 기억하는 바에 의하면 검찰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이 시켜서’ 발언은 “검찰에서 ‘이런 시빗거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니까 그걸 좀 차단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내가 나가는 것은 좋지 않겠다’ 이런 맥락에서 이야기한 것으로 저는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조 씨와의 통화 내용은 기억나지 않으면서도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추정을 한 것이다.
오히려 김 의원은 녹취록 유출 출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를 지목하고 “공무상 비밀누설죄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조 씨가 어제 KBS라디오에 나와 녹취록은 전날(17일) 완성됐고 그전까지 어떤 기자에게도 확인해준 바 없다고 분명히 말했는데, PD수첩은 일주일 전에 이미 녹취록을 입수해서 들어봤다고 했고 취재공문에도 그렇게 적혀있다”며 “업무상 비밀인 녹취파일을 가진 게 공수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고발장 접수 때) 심재철 전 원내대표가 지팡이 짚고 가면 모양새가 좋을 것 같다”고 ‘장애 비하’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발언에 대해서 김 의원은 “심재철 전 (원내)대표에 대해서 마치 비하하는 듯한 보도가 나와서 ‘설마 내가 그런 얘기 했나’ 걱정을 많이 했다”며 “그런데 (심 전 원내대표가) 투쟁하시다 다리 장애가 생긴 걸 높이 평가한 얘기였다”고 해명했다.
민웅기 기자 minwg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