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배터리특구 전략수립…이차전지산업 1막 2장 본격화
[일요신문] 경북도는 21~22일 'Post 배터리특구 전략수립을 통한 이차전지산업 1막 2장 본격화'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가졌다.
지난 배터리특구 운영성과를 돌아보고 이차전지산업의 최근 동향, 발전방안 및 관련 후속과제 모색 등으로 본격적인 Post 배터리특구 활성화 추진 전략 마련을 위해 추진됐다.
행사는 먼저, 지난해 운영성과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제도개선, 기업지원, 후속사업연계, 특구 안착화 및 사업화 노력 등의 세부 항목으로 나누고 집중 점검했다. 이를 통해 성과창출 부문은 사업전반으로 확산하고, 미흡한 점은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보완해 나간다는 것.
이어 이차전지 산업 최근 기술동향 및 향후 발전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주제발표로 특구사업 고도화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고승태 동양대학교 교수(생명화학공학과)는 "향후 글로벌 시장개척을 위해 기술력과 경험을 갖춘 기업과 대학의 정책적인 참여와 행정적 뒷받침으로 이차전지산업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춰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손정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대용량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사업 진출을 모색 중이지만, 아직 뚜렷한 플레이어가 등장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경북이 Post 특구전략 추진으로 이차전지산업 분야 패스트 팔로어(Past follower)가 아닌, 퍼스트 무버(First mover)가 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이차전지사업 관련 신규과제에 대한 기업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책화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최근 솔루엠으로 인수 합병된 김창인 前 에스아이셀 대표는 "탄소중립 이슈와 관련해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의 중요성은 커진 반면, 제도적 기반은 충분하지 않아 시장진출이 쉽지 않다"며, "특구실증으로 사용 후 배터리 ESS에 대한 안전성, 기술개발, 법령정비가 이뤄진 만큼 산학연이 함께하는 사업화 전략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ost 특구의 미래비전인 추진전략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경북도는 크게 이차전지산업 거점별 발전전략과 포항권역 R&D 및 생산거점 연계로 배터리 산업 클러스터 조성, 구미권역 이차전지 소재·공정 생태계 조성으로 나눠 세부 계획을 마련하고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2019년 7월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받은 배터리 특구는 그간 많은 경제적, 정책적 성과를 달성했다. 무엇보다 1조6591억에 달하는 대규모 기업투자유치에 성공해 지역경제 회복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으며, 후속 국책사업을 대거 유치해 경북을 명실상부 이차전지산업을 주도하는 위치에 올려놓았다.
박인환 4차산업기반과장은 "배터리 특구는 기존 철강, 전자 등으로 대표되는 지역주력산업 침체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완전히 자리매김했다"며, "향후 Post 배터리특구 추진전략을 구체화해 미래 산업의 핵심인 이차전지 산업화의 중심지로 경북도가 발돋움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cch@ilyod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