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건 첫 일자리 갖는 것…“학교 졸업 후 첫 취업까지 평균 11개월 걸려”
3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년 사회 첫 출발 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I : 일자리’(연구책임자 김기헌)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들의 졸업 후 첫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은 33.3개월로 나타났다. 근속기간은 3년 미만이 63.9%로 가장 많았다. 졸업 후 첫 일자리에서의 지위를 보면 응답자의 94.5%가 임금근로자, 5.5%가 비임금근로자로 나타났다.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정규직은 66.6%, 비정규직은 33.4%였다.
청년들은 첫 일자리를 갖고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것을 성인으로서의 사회 첫 출발을 의미하는 가장 중요한 과업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졸업 후 첫 일자리’는 ‘최종 학교 졸업 후 처음으로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했거나 가족사업체에서 무급으로 18시간 이상 일을 했던 경우’나 졸업 전에 시작했더라도 졸업 후 일자리가 계속 이어진 경우로 정의했다.
성인으로서의 첫 출발을 상징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문항에 응답자의 35.4%가 ‘첫 일자리를 갖게 되는 것’을 꼽았다. 이어 ‘부모와 타인으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는 것’(25.2%), ‘성인으로서의 권리를 갖게 되는 것’(15.5%), ‘학교를 졸업하는 것’(11.1%), ‘결혼하는 것’(7.4%), ‘부모(보호자)와 함께 살지 않는 것’(4.0%), ‘자녀를 출산하는 것’(0.8%) 등의 순이었다. 이에 대해 생애과정에서 결혼이나 출산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이 작아지고 있는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다.
취업한 회사의 종사자 규모를 보면 63.9%의 청년들이 3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체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했다. 1∼4인 규모의 직장에서 첫 일자리를 시작한 비율도 26.3%로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 일자리의 종사자 규모가 500인 이상인 경우는 7.7%에 그쳤다.
졸업 후 첫 일자리의 평균 주당 근로시간은 41시간, 월 소득은 평균 213만 원으로 집계됐다. 성별과 학력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졸 이상 남성의 평균 근로시간은 42시간으로 여성(40시간)보다 2시간가량 많게 나타났고, 월 소득도 남성(231만 원)이 여성(194만 원)보다 37만 원 많았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의 청년은 평균 44시간 근무에 203만 원의 급여를 받았지만, 대졸 이상의 청년은 42시간 근무에 236만 원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 청년이 대졸보다 더 긴 시간 일하고 더 적은 급여를 받는 셈이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7∼10월 전국 만 18∼34세 청년 2041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실태 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연구진은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학교 졸업 후 첫 취업까지 평균적으로 11개월이 걸리는데, 이는 개인적으로 불안정하고 고통스러운 시기이자 국가적으로도 인적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것”이라며 “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취업이 결정되는 예방적 접근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허일권 기자 onebook@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