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공 실세들 다수 연루된 권력형 비리로 확전 가능성…파장 예고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조카가 억대 사기사건에 연루돼 피소된 사실이 알려졌다. 사진공동취재단
사업유형은 쿠웨이트 A 사 본사에서 자국 국가개발 사업에 필요한 세계최고기술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기업 중에서 비즈니스 접촉을 통해 사업제안 및 입찰을 연결해주고 공식 커미션 3%를 A 사와 입찰한 국내기업으로부터 각각 받는 조건이었다. 아울러 60억 원 규모를 쿠웨이트에 본사와 50:50으로 공동 투자하여 원자재를 한국에서 현지로 가지고 가서 현지에 공장을 지어 직접 가공하여 완성제품으로 공사 물자를 공급해 큰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자재생산 사업을 한다는 것이었다.
전 씨와 지인관계였던 J 씨는 2010년 9월 중순 경부터 경기도 성남시 남한산성 입구에 있는 한정식당과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일대 커피숍에서 수차례에 걸쳐 쿠웨이트 국가개발 프로젝트 사업에 왕실과 의형제 관계의 인맥을 움직일 수 있고, 한국에 쿠웨이트 왕실이 소유하고 있는 국영기업인 A 사의 에이전트를 설립해 참여하면 입찰 알선 리베이트와 현지 공장건립 및 생산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회유했다.
그러면서 전 씨는 J 씨에게 사업자금 명목으로 3억 원을 차용해 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J 씨가 최대 융통자금이 1억 원이라고 하자 그 금액이라도 차용을 해 달라고 하면서 늦어도 3~6개월 후에 450억 원가량의 입찰 리베이트를 받는데 그중 1%인 4억 5000만 원을 줄 수 있으며, 만약 실현되지 않더라도 원금과 이자를 포함해 틀림없이 변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J 씨는 전 씨가 자금이 급하다고 하여 2010년 11월 2일 오후 1시경 성남시 소재 한정식당에서 자기앞 수표 1억 원(수표번호749××××)을 먼저 전달했다. 다만 J 씨는 전 씨가 차용증을 준비하지 못했다고 하자 차용 관련 필요서류는 차후에 만들어서 작성하기로 하고 수표를 건넸다. 하지만 전 씨는 공증할 수 있는 증빙서류 제시와 작성은 물론이고 원금과 이자를 한푼도 변제하지 않고 의도적으로 J 씨를 회피했다. 변제하기로 약속한 6개월이 지났지만 차용 관련 서류는 물론이고 원금을 변제하지 않자 J 씨는 전 씨에게 상환을 요청했다. 그러자 전 씨는 “바로 원금을 회수해 주겠다. 걱정하지 말고 조금만 기다려 달라”는 말만 되풀이하면서 변제를 계속 미뤘다.
<일요신문>이 단독 입수한 고소장.
자금 변제를 차일피일 의도적으로 지연시키면서 약속이 지켜지지 않자 J 씨는 2011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원금회수를 집중적으로 요구했다. 이에 전 씨는 1년 넘게(9월 기준) 본인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자금을 해결해 줄 지인 20여 명을 순차적으로 거론하며 자금을 마련해 줄 인물이 확실하니 걱정하지 말라고 안심시키며 온갖 핑계를 일삼았다. 전 씨는 대신 변제해 줄 대상들을 차례로 선정해 2~4일 간격으로 “꼭 된다” “모레 된다” 등으로 사람의 심리를 극도로 피말리게 자극하면서 대상 1명이 끝나면 다른 대상 1명을 이어서 같은 방식으로 지금까지 기만과 사기행위를 이어갔다.
급기야 J 씨가 “차용서류를 가져오면 나의 지인 편으로부터 자금을 임차해준다는 채권자를 확보해 놓았다”고 하자 그 직후인 지난 9월 15일부터는 아에 휴대폰도 안받았고 현재까지 연락이 두절된 상태다.
지난 6일 검찰에 고소장을 제출한 J 씨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전직 대통령의 장조카인 전 씨가 사기를 칠 줄은 꿈에도 생각못했다”며 “전 씨를 믿고 친인척 및 지인들로부터 자금을 끌어다가 차용해 준 것인데 이렇게 뒤통수를 맞고 보니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변제를 요구하는 과정에서도 정신적으로 힘들었다. 반드시 법의 심판을 받게 하겠다”고 울분을 토했다.
기자가 ‘차용증이 없으면 전 씨의 사기를 입증하기 힘들지 않겠나’라고 묻자 J 씨는 “전 씨를 믿고 차용증을 받지 않은 것은 사실이나 전 씨에게 건넨 수표번호와 통장거래내역서, 휴대전화 통화 녹취록 12건, 1억 자금 거래 과정을 지켜본 증인 등 입증 자료는 얼마든지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전 씨에 대한 고소장이 접수된 만큼 검찰이 이 사건 수사를 본격화할 경우 J 씨 외에 또 다른 피해자 및 피해 금액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당시 쿠웨이트 사업 프로젝트에 5공 실세 인사들이 다수 연루돼 있었다는 점에서 권력형 비리로 확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자는 전 씨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에 걸쳐 휴대전화 및 문자로 연락을 취했으나 끝내 답장이 없었다.
홍성철 기자 anderia10@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