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드리블’ 이제 그만~
2011년 김정남 프로축구연맹 부총재가 16개 구단장과 간담회를 하는 모습. 연합뉴스
다만 프로축구의 경우 기업구단이 아닌 시민구단은 다양한 경력을 가진 단장들이 포진해있다. 인천, 대구, 대전, 강원, 경남 등의 시민구단은 자치단체장이 구단주를 맡아, 그들이 대표이사와 단장을 선임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인천의 대표이사는 조동암 인천시 문화관광체육국장이 맡고 있으며, 경남의 박재영 단장은 <일간스포츠> 편집국장과 축구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강원의 대표이사로 임은주 축구 국제심판을 선임하기도 했다.
그러나 자치단체장이 구단주를 맡으면서 시민구단이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되거나, 선거를 통해 자치단체장이 교체됐을 때 그에 따라 구단 운영진도 경질돼 운영 방침에 혼란이 초래될 수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사건이 지난해 광주 FC의 구단주, 단장과 선수단을 둘러싼 갈등이다.
지난 2010년 지방선거를 통해 당선된 강운태 광주광역시장은 2011년 광주 FC 창단과 함께 구단주에 올랐다. 강 시장은 선거기간 동안 강 시장 선거캠프에서 홍보본부장으로 활동한 박병모 씨를 광주 단장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단장직을 맡은 지 채 1년이 되기 전에 박 씨는 선수단에 대한 열악한 지원, 구단 직원 채용과정에서 배임 수재 혐의, 감독과의 운영 방침 차이로 인한 충돌 등으로 논란을 빚었다. 이런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 광주는 결국 2012년 K리그 15위라는 초라한 성적을 거두며 2부리그로 강등됐고, 성적 부진을 이유로 박 단장은 자리에서 물러났다.
광주뿐만 아니라 인천 유나이티드 역시 안상수 전 인천광역시장에 이어 취임한 송영길 시장이 안 전 시장과 친분이 있었던 구단의 대표이사와 단장 등의 교체를 단행해 ‘코드 인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또한 시민구단의 경우 지자체 예산이 투입되긴 하지만 선수 영입 등의 투자 지원이 대기업의 후원을 받는 구단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구조는 팀의 성적에도 일정부분 반영되는데, 현재 막바지로 치달아가는 K리그클래식에서 인천을 제외한 경남, 강원, 대구, 대전, 4개 시민구단은 모두 하위권에서 강등을 두고 서로 다투는 처지에 놓여있다.
축구계의 한 관계자는 “지자체장이 구단주를 맡게 되는 시민구단의 특성상 지원이나 투자가 정치적 입장과 연계돼 연속성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면서도 “하지만 기업구단 역시 모기업의 경영상황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경향이 강해 마냥 이점만 있는 것도 아니다. 대기업은 아니지만 최근 성남 일화 해체 논란 사태를 봐도 잘 알 수 있다”고 귀띔했다.
민웅기 기자 minwg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