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줄 때문에...
<1도> 중반의 승부처였다. 현재 형세는 백이 좋다. 흑1로 중앙 백 두 점을 크게 포획하려는 장면. 검토실에서는 “백은 굳이 두 점을 살리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 버리는 쪽으로 마무리하고 다른 곳으로 선행하면 여전히 우세하다”고 말하고 있었는데….
이 2단은 흑1이 조금 거슬렸던 모양이다. 흑1이 아니라 흑A라면 모를까, 흑1까지 넓게 온 것은 용서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 흑1과 흑A는 한 줄의 차이. 이 한 줄이 파란을 일으키고, 종당에는 역전의 드라마를 만들었다.
<2도> 백1로 움직이며 반발했다. 흑2에는 백3에서 5로 끊고, 다시 7로 끊어 여기서 끝장을 내겠다고 했다. 그러나 불과 몇 걸음 앞에 함정이 기다리고 있었다. 그리고 이 2단은 이 무렵 초읽기에 몰리기 시작했다.
<3도> 흑1~백6은 외길 수순. 흑5 때 백6이면 오른쪽 백 두 점이 잡히고, 그러면 안 되는 것 같지만, 지금은 아니다 백6으로 끊으며 죄어야 한다. 백6으로 A면 흑6, 백B, 흑C에서 백의 응수가 없다. 백D로 이으면 흑E의 양단수로 끝이다. 백E에 이어 양단수를 피하면 아래쪽이 터진다. 중앙에 갇힌 백은 다섯 수인데, 아래가 터지면 수상전에서 백이 안 되는 것.
<4도> 흑1로 두 점을 따냈다. 상황이 백에게 기분 나쁘게 돌아가고 있다. 일단 백2로 이어야 한다. 박 4단은 여기서 흑3으로 끊는 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계속해서 백4로 둘 수밖에 없을 때 흑5의 코붙임, 이 맥점이 필살의 일격이었다.
<5도> 백은 1로 따낼 수밖에 없는데, 흑2를 선수하고, 4에 뛴 다음 6으로 꽉 잇는 순간, 줄곧 백이 리드했던 바둑은 허망하게도 역전으로 끝나 버렸다. 백은 A의 곳을 이어야 한다. 흑B로 찝으면 중앙 백은 앞서 말했듯 다섯 수. 실전은 백C로 지켰고, 흑은 수상전이 아니라 D로 들어가면서 또 한 집을 확보, 완생했다. 백이 A의 곳을 보강하지 않으면 흑A로 끊어 잡힌다.
<6도>가 백을 위한 정답이었다. 그냥 백1, 3으로 양쪽을 젖혀 선수한 후 다른 큰 곳으로 가든지, 계속해서 5로 틀어막든지, 그랬으면 아직도 백이 많이 좋은 형세였다는 것이 국후 검토의 결론이었다.
이광구 바둑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