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실적 개선·계열사 IPO·금융업 직접 진출로 맹추격…가상자산·전자상거래 부문이 변수 전망
황금알을 낳는 분야인 금융업에서도 성과가 엇갈리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급팽창하는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소외가 치명적이었다. 물론 국내 플랫폼 시장에서 몸집은 네이버가 절대우위다. 하지만 금융업에서의 승부는 여전히 진행 중이고, 모든 자원을 동원해 전면전을 벌여야 할 전자상거래, 빅테이터 부문에서는 아직 충돌 전이다. 글로벌 플랫폼의 국내 진출도 또 다른 변수다.
1분기 말 기준 자산은 네이버가 30조 4310억 원으로 카카오(13조 5142억 원)의 2배가 넘는다. 하지만 이는 소프트뱅크와 합작법인 A홀딩스를 설립해 자산이 불어난 효과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1분기 매출액은 각각 1조 4991억 원과 1조 2580억 원으로 격차가 2000억 원에 불과하다. 2019년과 2020년에는 네이버 매출이 4조 3562억 원, 5조 3041억 원이고 카카오가 3조 701억 원, 4조 1568억 원이다. 격차가 42%에서 27.6%로 좁혀진데 이어 올해 10%대까지 줄어든 셈이다.
그럼에도 영업이익 격차는 여전히 상당하다. 지난해 네이버 1조 2153억 원, 카카오 4559억 원에 이어 올 1분기에도 각각 2888억 원, 1575억 원이다. 종합하면 아직도 네이버보다 카카오가 몸집에서는 분명 열세다. 그럼에도 시가총액 순위가 바뀐 이유는 뭘까. 금융부문 때문이다.
네이버는 국내에 모기업인 (주)네이버만 상장돼 있다. 네이버파이낸셜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금융업 인가는 직접 취득하지 않고 있다. 반면 카카오는 시가총액 4조 3000억 원인 코스닥 상장사 카카오게임즈 지분 45%를 보유 중이다. 카카오페이(증권, 보험, 간편결제)와 카카오뱅크도 상장 대기 중이다. 카카오 지분율은 각각 55%, 31.6%다. 기업가치가 각각 최소 7조 원, 20조 원으로 추정된다.
국내에서 네이버의 간판 사업은 인터넷 검색이다. 하지만 인터넷 시대에 절대적이던 네이버의 지위는 모바일·SNS 시대에 접어들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2020년 3분기 말 기준 PC와 모바일을 합한 순이용자수(UV)는 네이버가 4040만 명으로 1위지만, 카카오 3950만 명과의 격차가 100만 명 미만이다. 다음(daum)의 2940만 명을 합하면 오히려 카카오그룹(합산 6890만 명)에 뒤진다. 총합으로 보면 구글 3550만 명, 유튜브 3480만 명 등 미국 알파벳이 7030만 명으로 1위다.
경쟁 심화는 수익성 하락으로 이어졌다. 네이버 매출이 해마다 늘고 있지만, 영업비용 증가율이 더 가팔라 2019년 26%를 넘던 영업이익률이 지난해에는 22.9%로 낮아졌고, 올 1분기에는 19.3%까지 내려갔다. 네이버는 올 1분기 검색플랫폼의 매출 비중이 50.2%로 절반에 간신히 턱걸이했다.
반면 카카오는 매출액 성장률이 네이버보다 50%이상 높은 데다, 2019년까지 10%를 밑돌던 영업이익률도 지난해 10.9%로 두 자릿수에 진입했고 올 1분기에는 12.5%까지 높아졌다. 네이버와 반대로 카카오는 플랫폼(톡비즈, 포털 등) 매출액 비중이 높아지며 오히려 더 강력해지는 모습이다.
다만 향후 현재의 역전 상태가 바뀔 가능성도 높다. 가상자산도 변수다. 카카오 주가 급등의 배경에는 세계 3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에 대한 투자(지분율 20.4%)가 있다. 최근 규제 위험으로 가상자산 가격 급등세에 크게 제동이 걸린 만큼 실제 미국 증시 상장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주가 상승의 동력으로는 작용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상거래 부문도 눈여겨봐야 한다. 쇼핑분야는 검색과 불가분의 관계다. 구축된 빅데이터는 금융부문 부가가치와도 직결된다.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커머스와의 합병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카카오는 그간 성장성이 큰 사업부를 분사하는 전략을 펼쳤지만 커머스는 3년 만에 다시 직접 품기로 했다.
전자상거래 부문에서는 네이버가 여전히 최대 강자다. 네이버는 신세계와 자본제휴까지 맺고 있다. 최근 네이버는 선물하기 기능을 대폭 강화하며 카카오톡이 독주하던 온라인 선물시장에 강력한 견제구를 던지기 시작했다. '이베이발' 이커머스 시장 지각변동에 대비하기 위해 '규모'의 경쟁력을 확보하려 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열희 언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