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쉬었음’ 인구 44만 3000명으로 집계…이 중 75%는 “일할 생각 없어”
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청년층(15∼29세)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전년 동월보다 4만 2000명 늘어난 44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7월 기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이는 전체 청년층 인구 815만 명 중 5.4% 수준으로 이 역시 7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쉬었음은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막연히 쉬고 싶은 상태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7월 쉬었음 청년은 2013∼2017년 20만 명대였으나 2018년 30만 명을 넘어섰다. 이후 계속 증가해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44만 1000명까지 늘었다. 2022년 36만 1000명으로 줄었으나 지난해부터(40만 2000명)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청년층의 쉬었음 비중은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40대 쉬었음 인구는 28만 4000명으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적었다. 30대도 28만 8000명으로 나타났다. 50대는 39만 4000명을 기록했다.
쉬었음 청년(44만 3000명) 가운데 일하기를 원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한 이들은 전체의 75.6%인 33만 5000명에 달했다. 일하기를 원했던 쉬었음 청년을 대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은 이유를 조사해보니 ‘원하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다’는 답변이 42.9% 가장 많았다.
앞서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5만 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만 2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올해 3월 17만 3000명에서 4월 26만 1000명으로 늘었다가 지난 5월 8만 명으로 감소한 뒤 6월(9만 6000명)까지 두 달 연속 10만 명을 밑돌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에서 27만 8000명 증가했다. 30대에서 11만명, 50대에서 2만 3000명 각각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4만 9000명 감소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1만 7000명), 정보통신업(8만 2000명), 운수·창고업(6만 5000명) 등에서는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건설업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8만 1000명 줄어 2013년 10차 산업분류 변경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7개월간 증가세를 유지하던 제조업 취업자도 1만 1000명 줄어 감소세로 전환됐다.
임홍규 기자 bentus@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