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광주역 진입 원안 뒤집기 시도 끝에 “일부 운행 결정”
광주시가 내년 3월 호남고속철도(KTX) 완전 개통을 앞두고 모든 KTX는 광주송정역에 정차 후 일부만 광주역으로 반복운전하는 ‘스위치백(switchback)’ 방식으로 최종 입장을 정리했다.
사실상 민선 5기 ‘강운태 전 시장의 안’이 한 달이 지난 지금 그대로 확정된 셈이다. 이 안은 민선 6기 출범 이후 논란이 된 광주역 진입 금지와는 거리가 있다.
이로써 KTX 광주역 진입 문제를 시민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이를 재검토하겠다던 민선 6기 광주시의 ‘공언’은 물거품이 됐다.
광주시가 KTX 광주역 진입과 KTX 송정역 단일화 등을 요구하는 북구와 광산구 주민들을 모두 의식한 이른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안도 어디까지나 광주시의 ‘희망사항’일 뿐이다. 열차 노선 운영 권한을 쥐고 있는 국토부의 입장은 오는 10월 말이나 11월께 나올 전망이어서 최종 결론은 아직 미지수다.
◇시민들만 혼란= 국토부는 2006년 광주송정역을 호남선 KTX 단일 거점역으로 확정했다. 그럼에도 광주시는 광주역 부근 도심 공동화를 우려하는 주민들 요구에 광주송정역에 진입한 열차의 일부 노선을 광주역으로 되돌리는 방안을 국토부에 건의해왔다.
그러나 광주시는 돌연 지난 8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KTX 광주역 진입 문제를 시민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민선 6기 윤장현 시장의 인수위 격인 ‘희망광주준비위원회’도 최종 보고서를 통해 재검토 필요성을 제기했었다.
하지만 다시 원점 회귀됨에 따라 인수위 시절 섣부르게 광주역 재검토 계획을 발표, 주민간 갈등과 논란을 자초했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주요 정책에 대해 TF팀을 가동하면서 설문조사·토론회 등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으나 실제적으로 수렴 절차는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결정 과정이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민선 6기 시정원칙을 스스로 부정한 것이란 지적이다.
◇‘경제성 논란’일듯= KTX 광주역 진입과 관련해 광주시는 △하남역 분기 후 신선을 통한 광주역 진입(제1안) △정읍역 분기 후 기존 호남선을 통한 진입(제2안) △송정역까지 운행 후 광주역으로 반복 운전(제3안) △송정역에서 광주역까지 일반 셔틀 열차 운행(제4안) 등 4가지 방안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해 왔다.
하지만 1·2안은 타당성이 낮은데다 국토부의‘1도시 1거점역’ 원칙에 위배되고, 셔틀 열차 운행은 열차 제작·운행·기관사 인건비 등에 들어가는 추가 소요 예산이 막대하다.
남은 것이 3안. ‘송정역 운행 후 광주역으로 반복운전’인데, 이 역시 경제성이 매우 낮다. 서울에서 광주송정역까지 걸리는 시간은 1시간30분인데, 광주역으로 반복운전하게 되면 열차 예열시간 포함 37분이 더 소요된다.
3안에 대한 광산구의 반발도 불 보듯 뻔하다. 광주는 타 도시에 비해 철도이용수요가 적은 편인데 철도이용자가 분산될 경우 광주송정역복합환승센터 사업타당성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광주역으로 꼭 가겠다는 승객이 있을시 스위치백 방식으로 반복운전하는 것으로 입장을 정리했다”고 했지만 “이렇게 해서 광주역으로 가길 원하는 수요가 얼마나 있겠냐”는 회의론도 무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KTX 광주역 진입, 국토부 받아들일까= 관심은 우여곡절 끝에 결정된 광주시의 KTX 광주역 진입 최종안에 대한 국토부의 승인 여부다. 국토부는 현재 KTX의 광주역 진입 자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한 용역에서는 세 번째 안의 경우, ‘경제성이 낮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 방안은 북구와 동구 등 광주역 이용 주민들의 편리성이 있지만 광주송정역에 정차한 열차가 광주역으로 반복운전하게 되면 37분(예열 20분, 이동 17분)이 걸려 경제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송정간 소요시간이 1시간 33분에 불과한 점을 고려할 때 광주역을 이용할 승객이 얼마나 될지도 관심이다.
여기에 국토부와 광주시, 광산구가 KTX 완전 개통에 맞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송정역 주변 역세권 개발도 광주역 진입에 부정적 요소가 되고 있다.
광주시는 최대한 시의 건의안이 반영될 수 있게 노력하겠지만 정책결정은 국토부와 코레일에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그 결정에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