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더힐 109억 원 등 최고가 경신하는 등 ‘똘똘한 한 채’ 주목 받는다
3일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주거용부동산팀이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월 서울 135㎡ 이상 대형아파트 매매가격지수(2022년 1월 100 기준)는 12월보다 0.2포인트 오른 106.6으로 나타났다. 2013년 3월(65.6) 조사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고치다.
서울 강남권 등 상급지를 중심으로 갈아타는 수요가 많아지며 아파트 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용산‧성동 등 서울 11개 구를 묶은 강남권 대형아파트 가격지수는 107.4로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지난 1월 서울 용산구 소재 한남더힐 303㎡(공급면적 92평)가 역대 최고가인 109억 원에 거래됐다. 강남구 압구정동 한양4차 226㎡(공급면적 68평)도 77억 원,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3차 314㎡(공급면적 95평)도 73억 원에 매매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강북 14개구 대형아파트 가격지수는 104.3으로 강남권보다 3.1포인트 낮은 수치를 보였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주거용부동산팀장은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및 양도소득세 부담이 지속되면서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며 “강남권 중심 대형 아파트 수요가 급증하며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속해서 줄고 있다. 지난달 거래량은 1458건(계약 기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9220건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후 △8월 6517건 △9월 3169건 △10월 3817건 △11월 3359건 △12월 3094건 등으로 집계되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월 거래량은 전달 대비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정동민 기자 workhard@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