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인천로봇랜드 조성실행계획 변경 승인…인천시 “사업 신속하게 추진할 것”
인천로봇랜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 내 76만 9000㎡ 부지에 로봇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산업용지, 업무용지, 로봇체험시설, 상업시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글로벌 로봇 융합 산업의 선도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인천시는 기대하고 있다.
인천로봇랜드는 2008년 국내 최초로 로봇을 테마로 한 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국책사업으로 인천, 경남 마산이 선정되면서 시작됐다. 로봇의 기획, 연구, 생산, 테스트, 소비가 가능한 원스톱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로봇 산학연관이 집적화된 국내 최대 규모의 로봇산업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인천시와 토지소유주인 인천도시공사(iH), 사업시행자로 예정되었던 (주)인천로봇랜드(SPC) 사이에 토지 가격 및 제공방법 등을 놓고 갈등을 겪으면서 15년 넘게 표류해왔다.
이에 인천시는 지난해 8월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인천시, 인천도시공사, (주)인천로봇랜드와 합의 약정을 체결했다. 토지소유주인 인천도시공사를 인천시와 함께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합의 약정을 맺을 당시 유정복 인천시장은 "인천로봇랜드를 국내 최대 로봇산업의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하려면 원스톱 인프라 구축과 산학연관 통합, 로봇기업지원 등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각 기관들이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후 인천시는 인천도시공사와 (주)인천로봇랜드 주주들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기존에 어지럽게 난립했던 여러 협약을 단일 신규협약으로 대체 또는 정리하고, 인천도시공사를 공동사업시행자로 하는 변경안을 조성실행계획에 담아 산업부에 승인을 요청했다.
아울러 사업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개발계획·실시계획 변경, 각종 행정절차 및 업무 위·수탁 협약 체결 등의 후속 절차를 사실상 동시진행하면서 준비기간을 최소화했다.
인천시는 앞으로 경제자유구역법에 따른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승인을 마무리하고 시공사 선정 등을 차질 없이 준비해 17년간 표류하던 인천로봇랜드 사업을 정상화하고 속도감 있게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유제범 인천시 미래산업국장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채로 남아있던 인천시의 숙원사업이 진통 끝에 드디어 빛을 보게 되어서 감개무량하다"며 "신속한 사업 추진으로 로봇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로봇 앵커기업 유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투자 유치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발굴해 국내 최대의 로봇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창식 경인본부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