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대전환, 150대+ 실행 과제 책자’ 홈페이지 게시
- 신규 시책·150대 과제 안내…담당 부서 연락처 등으로 언제든 상담 가능
[일요신문] 경북도는 16일 경북도 홈페이지에 도민들이 지원받을 수 있는 저출생 극복 대책을 소개한 '저출생 대전환, 더 피부에 와 닿는 150대+ 실행 과제' 안내 책자를 게시했다.
150대+ 실행 과제 책자는 정부와 경북도, 시군에서 마련한 저출생 극복 사업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만남 주선 △행복 출산 △완전 돌봄 △안심 주거 △일‧생활 균형 △양성평등 등 분야별로 안내돼 있어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특히 150대+ 사업마다 담당 부서와 연락처까지 기재돼 있어 언제든 궁금한 사안이 있으면 전화하면 된다.
도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경북도가 구축 중인 돌봄 통합서비스 플랫폼에서 생애주기별 돌봄 관련 정책에 대한 통합 안내를 받을 수 있다"며, "현재 도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북도가 저출생과 전쟁 시즌2를 맞아 준비한 더 피부에 와 닿는 저출생 주요 정책 중 몇 가지가 새롭게 다가온다.
먼저 20대에 결혼한 신혼부부에게 세탁기, 냉장고, 침대 등 가전 가구 구매 비용 100만원을 지원한다. 도비와 시군비 3억원이 투입되며 300가구 정도가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일찍 결혼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해 수혜 가구와 대상, 지원 비용 등을 현장 의견을 들어 보강할 계획이다.
또한, 경북에서 출산하면 출산 축하 용품, 산모 건강 회복을 위한 동해 특산 미역, 친환경 농산물, 초보 엄마‧아빠를 위한 책 선물 등이 패키지로 지원된다. 어촌 마을 태교 여행, 예비 엄마‧아빠 행복 가족 여행도 보내준다.
이에 더해 도는 남성 난임 시술비 지원(회당 100만 원 / 최대 3회), 35세 이상 산모 의료비 지원(임신당 최대 50만 원), 생식 세포 동결 보존 비용 지원(여 200만 원, 남 30만 원) 사업을 추진해 임신과 출산 비용 부담을 덜어준다.
지난해 온 마을이 함께 돌보는 공동체 돌봄 기반 조성에 더해 올해는 아픈 아이 긴급 돌봄센터를 12곳으로, 24시 어린이집 시간제 보육 지원은 30곳으로 확대해 운영한다.
또한, 교통과 문화 시설이 부족한 지역을 중심으로 영유아 창의센터를 운영하고 돌봄과 독서를 함께 할 수 있도록 함께 키우는 작은 도서관 돌봄 사업도 10개 시군에서 시행된다.
다자녀 가구의 경제 및 양육 부담 완화를 위해 세 자녀 이상 가정의 큰 집 마련 이자 지원(3억원 한도 내 자녀 수와 소득 수준에 따라 연 1.5~3.0%), 두 자녀 이상 축산 농가에 도우미도 1년에 12일(12만원 /명/회)까지 지원한다.
현재 정부는 육아 휴직 활성화를 위해 사업주에게 육아 휴직 대체인력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월 최대 120만원, 1년간). 도는 이에 더해 육아 휴직 대체인력 근로자에게 6개월 근무 시 최대 200만원까지 추가 지원해 기업에서 대체인력을 쉽게 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는 일·생활 균형을 위해 가족 친화적이며 여성이 머물러 일하고, 아이들이 행복하고 존중받는 기반 조성에도 적극 나서는데, 도내 여성 친화 도시 8곳을 지정해 시군별 특화사업을 시행하고, 아동 친화 도시 6곳에는 과학 놀이터, 찾아가는 놀이 버스, 어린이 복합 쉼터 등 11개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작년 구미에 문을 연 일자리 편의점을 올해는 포항, 예천 등으로 확대해 운영하기로 했다.
한편 도는 작년 저출생과 전쟁을 지자체 최초로 선포하고 100대 과제에 1999억원을 들여 출생아 수 및 혼인 건수 증가 등 긍정적인 신호를 만들었다. 올해는 150대로 과제 수를 늘리고 예산도 1.8배 늘어난 3578억원을 투입해 더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현장에 신속히 집행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cch@ilyod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