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번째 선보이는 왕릉과 빛‧영상 접목한 대릉원 미디어 기대 만발
[일요신문] "문화유산 활용은 있는 그대로의 문화유산 보존만큼이나 가치 있는 일이다."
천년고도 경주가 문화유산 활용 사업으로 지역 매력을 마음껏 뽐낸다.
시는 올 한해 △세계유산축전 △대릉원 미디어아트 △세계국가유산산업전 △세계유산 활용(4개) △세계유산 홍보지원(2개) △국가유산 활용(7개) △고택 종갓집(2개) 등 18개 사업에 70억원의 예산을 들여 문화유산 가치를 되새긴다.

대릉원 미디어아트는 10월 24일부터 11월 16일까지 황남대총, 천마총, 미추왕릉 고분을 중심으로 미디어파사드, 인터렉티브, 프로젝션 맵핑 등 다양한 미디어 기술을 선보인다.
올해로 8번째 열리는 국내 유일 국가유산 전문전시회인 경주 세계국가유산산업전은 시기를 앞당겨 6월에 개최해 APEC 정상회의 사전 분위기를 활용한 글로벌 주목도를 한층 더 높인다.
세계유산 활용 프로그램은 선비고을인 양동마을에서 숙박 체험 및 해설사 양성교육이 이뤄지며, 옥산서원에서는 내‧외국인 대상 스탬프 투어 및 선비체험이 진행된다.
경주역사유적지구인 월성, 대릉원, 황룡사를 배경으로는 타임머신 투어, 전통등 전시 등의 역사교육 이벤트도 펼쳐진다.
특히 올해는 △석굴사원의 천년미소 '마애' △상상더하기 월성해자 △황룡, 전통등과 함께 날아들다 등 3건은 새롭게 선보여 기대된다.
야간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인 '문화유산야행'은 경주의 신화와 문화유산을 연계해 8야(夜)를 주제로 21개의 이색적인 이벤트를 열린다.
읍성을 연계한 포졸 체험, 쓰담 역사탐험대인 '읍성 생생나들이', 화랑의 나라, 서악 생생 페스타를 진행하는 '화랑이 깃든 서악마을' 프로그램은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참여해 추억을 쌓기에 좋다.
칠불암과 골굴암에서는 전통 사찰문화, 불교 문화유산 체험 등의 전통산사 행사로 국가 문화유산을 널리 알린다.
고택과 종갓집에서 펼쳐지는 '경주 최부자! 곳간을 열다' 와 '회재가 보내온 500년 종갓집 초대장'은 고택·종갓집의 의·식·주, 의례 등 전통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며 사라져가는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유도한다.
주낙영 시장은 "올 한해 경주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문화유산 활용 사업에 많이 참여해 아름답고 행복한 좋은 추억을 많이 담아 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cch@ilyod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