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지율 상승하면서 한동훈 입지 되레 줄어,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 전 출사표 전망

한 전 대표의 복귀가 늦춰지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당 지지율 상승과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다. 계엄 선포 후 보수 진영을 중심으로 윤 대통령에 대한 우호 기류가 퍼졌고, 여당 지지율은 민주당을 앞서는 결과까지 나왔다. 여권 후보들이 윤 대통령과의 동조화, 헌법재판소 비판 등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한때 ‘윤석열 정부 황태자’였던 한 전 대표는 어느덧 ‘반윤’의 대명사가 됐다. 계엄과 탄핵 정국에서 윤 대통령 그립감이 높아지자 한 전 대표 입지는 줄어들었다. 친한계에서 친윤으로 돌아선 이들도 적지 않다. 한 전 대표가 돌아올 공간이 여의치 않다는 의미다.
친윤계에선 한 전 대표를 향해 연일 ‘배신자 프레임’을 부각시킨다. 이는 경선 레이스에서도 적잖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각을 세웠던 유승민 사례와 비슷하다. 여권 잠룡들 중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 중도 확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한 전 대표의 경선 통과 가능성을 낮게 점치는 배경이다.
그럼에도 정가에선 한 전 대표의 복귀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또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등과의 연대론도 끊이지 않는다. 앞서의 친한계 의원은 “지금 지지율이 높은 김문수 장관 등 ‘친윤’ 간판으로는 절대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 보수 진영도 이를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면서 “조기 대선이 가시화하면 한 전 대표도 새롭게 평가받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